본문 바로가기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말의 逆機能

by freewind 삶과사랑 2022. 9. 26.
728x90

말의 逆機能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07-27          이병한 <서울대 명예교수>

 

 

 

以言傷人者, 이언상인자

利於刀斧, 이어도부

以術害人者, 이술해인자

毒於虎狼. 독어호랑

 

말로 남에게 상처를 주는 것은 칼이나 도끼보다 날카롭고,

술수로 남을 해치는 것은 호랑이나 승냥이보다 사납다.

..............................................................

 

송 임포(林逋)성심록(省心綠)’에 보인다.

 

사람의 말이나 행동은 이를 남을 돕고 지켜주기 위한 뜻에서 나온 것과

남을 해치고 밀쳐내기 위한 속셈에서 나온 것 두 가지로 크게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사랑이 담긴 말 한마디는 한겨울의 두터운 솜옷보다 따뜻하다는 말이나

말 한마디로 천량 빚을 갚는다속담은 말의 순기능(順機能)을 나타낸 것이고,

중상모략이나 독설은 말의 역기능(逆機能)에 속한다.

 

우리나라 TV나 라디오 신문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여.야 국회의원들의 언동에는

역기능적인 요소가 많아 국민들의 마음이 늘 언짢다.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의 善惡과 나의 善惡  (0) 2022.09.28
살아있는 국보  (0) 2022.09.27
백성을 내 몸처럼  (1) 2022.09.23
먼저 해야 할 일  (0) 2022.09.22
건강관리와 국가관리  (0) 2022.09.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