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治亂의 징조

by freewind 삶과사랑 2022. 10. 13.
728x90

治亂의 징조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08-31         이병한 <서울대 명예교수>

 

 

 

夫天下裝治, 부천하장치,

則人必尙行也; 즉인필상행야;

 

天下將亂, 천하장란,

則人必尙言也. 즉인필상언야.

 

..............................................................

무릇 세상이 잘 다스려지려는 때에는

사람들이 저마다 실천을 숭상하고,

 

세상이 어지러워지려는 때에는

사람들이 저마다 말을 앞세운다.

..............................................................

 

송 소용(邵傭)이 한 말이다.

그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에 보인다.

 

우리나라 속담에 될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는 표현이 있다.

크게 자랄나무는 처음부터 그 기세가 왕성하고 자세가 꼿꼿하여 사람들이 그 장래를 점쳐 볼 수 있다는 뜻이다.

반면 처음부터 그 싹이 노랗다.”는 말은 그 나무가 제대로 자라지 못할 것이라는 예단(豫斷)의 뜻을 지니고 있다.

 

전제국가에서는 군중을 선동하기 위하여 거창한 구호를 곧잘 내세운다.

구호가 난무하는 때는 바로 민심이 흩어지기 쉬운 때이다.

 

그러나 법치국가 선진사회에서는 사람들이 약속을 잘 지키고 자율적으로 실천한다.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과 수레  (0) 2022.10.24
역사의 수레바퀴  (0) 2022.10.14
仁法과 義法  (0) 2022.10.12
비움의 미덕  (0) 2022.10.11
과녁을 맞히려면  (1) 2022.10.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