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비움의 미덕

by freewind 삶과사랑 2022. 10. 11.
728x90

비움의 미덕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08-22          이병한 <서울대 명예교수>

 

 

 

木虛爲琴瑟, 목허위금슬,

竹虛爲笙芋. 죽허위생우

 

..............................................................

나무는 속이 비어있음으로 해서 금과 슬이 되고,

대는 속이 비어있음으로 해서 생과 우가 된다.

..............................................................

 

청 원매(袁枚)견회잡시(遣懷雜詩)’에 있는 말이다.

 

금이나 슬은 위 판과 아래 판 사이를 비워 그 속에서 소리가 울리도록 만든 것이고,

생과 우는 대나무 통 속을 지나가는 바람을 구멍의 크기로 조절해 각기 다른 소리가 나도록 만든 것이다.

 

통나무에 줄을 붙이거나 구멍을 뚫으면 거기에서는 현악기나 관악기의 소리가 나지 않는다.

 

그릇은 속이 비어 있기 때문에 거기에 물건을 담을 수 있다.

이미 뭔가로 가득 차 있는 그릇에는 다른 것을 더 담을 수 없다.

 

그러므로 속을 비운다는 것은 거기에 뭔가 더 소중한 것을 담기 위한 적극적인 의지의 발로요 생산수단이라 할 수 있다.

 

마음을 비우는 일이 바로 더 높은 가치의 창출을 위한 정신활동이기도 하다.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亂의 징조  (1) 2022.10.13
仁法과 義法  (0) 2022.10.12
과녁을 맞히려면  (1) 2022.10.07
숭고한 정신  (0) 2022.10.06
코의 크기와 눈의 크기  (1) 2022.10.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