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해바라기

by freewind 삶과사랑 2022. 10. 28.
728x90

해바라기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09-12        이병한 <서울대 명예교수>

 

 

 

太陽豈是曾私照 태양기시증사조

何獨玆花感舊恩 하독자화감구은

 

日暮西風慘淡裏 일모서풍참담리

依依猶欲送黃昏 의의유욕송황혼

 

..............................................................

태양이 어찌 사사로이 비추었으랴

이 꽃은 뭣 때문에 그 은혜 못 잊고서

해질녘 쓸쓸한 바람 속에

고즈넉이 지는 해를 바라만 보고 섰는가.

 

..............................................................

 

명 전사승(錢士升)이 지은 '해바가기 秋祭'시이다.

 

가을에 피는 꽃 가운데 해바라기는 키가 제일 크다.

 

능소화(凌 花)는 담장이나 기둥을 카고 뻗어 하늘을 향하지만 홀로 서는 꽃이 아니고,

나팔꽃도 줄기를 뻗어 떨기로 피는 것이어서 그 기상이 해바라기와는 사뭇 다르다.

 

해바라기는 시골집 토담 한쪽 구석 양지바른 곳에 자리잡고 종일토록 해를 바라보며 서 있어서

충절의 상징으로 꼽히기도 하지만

때로는 아첨꾼의 비굴한 모습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백한 사귐  (1) 2022.11.01
본심의 차이  (0) 2022.10.31
자연은 말이 없다  (1) 2022.10.26
반성과 관용  (0) 2022.10.25
칼과 수레  (0) 2022.10.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