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담백한 사귐

by freewind 삶과사랑 2022. 11. 1.
728x90

담백한 사귐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09-19          이병한 <서울대 명예교수>

 

 

 

友如作畵究談, 우여작화구담

山使論文不喜平. 산사논문불화평

..............................................................

벗과의 사귐은 그림을 그림에 있어 담백함을 추구하는 것과 같아야 하고,

산은 글을 논함에 있어서 밋밋함을 좋아하지 않는 것과 같아야 한다.

..............................................................

 

청 옹조(翁照)여우인심산(與友人尋山)’에 있는 말이다.

 

담백한 속에 깊고 그윽한 멋을 담아내는 것이 동양적인 정취의 특징이다.

 

친구를 사귐에 있어서도 소인(小人)과 소인 사이는 단술과 같고,

군자(君子)와 군자사이는 담담한 물과 같다고 하였다.

단술은 처음에는 달콤하지만 이내 변질되어 신 맛이 난다.

 

그러나 담수(痰水)는 그 맛이 변하지 않으며 그때그때 갈증을 달래준다.

 

글은 그 속에 쓰는 이의 진솔한 마음이 담겨 있어야 하고 읽는 이로 하여금 감동케 하여야 한다.

 

금강산 만물상은 그 모양이 기이하고 다양해 사람들로부터 기림을 받는다.

 

담백하되 평범하지 않은 것이 바로 뛰어남이오, 깊음이다.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立功二難  (0) 2022.11.03
有用과 無用  (0) 2022.11.02
본심의 차이  (0) 2022.10.31
해바라기  (0) 2022.10.28
자연은 말이 없다  (1) 2022.10.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