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제기 - 중용 제14장
중용 (제14장)
군자는 본디 그 위치에 따라 행하되 그 밖의 것을 원하지 않는다.
본디 지금 부귀하면 부귀함에 맞게 행동하고,
본디 지금 빈천하면 빈천함에 맞게 행동한다.
본디 지금 이적(夷狄)이면 이적에 맞게 행동하고,
본디 지금 환난에 처해 있으면 환난에 맞게 행동한다.
군자는 들어가는 곳마다 거기에 자득(自得)하지 못함이 없다.
윗자리에 있어도 아랫사람을 능멸하지 않으며,
아랫자리에 있어도 윗사람을 끌어당기지 않는다.
자기를 바르게 하여 남에게 요구하지 않으면 원망이 없게 된다.
위로 하늘을 원망하지 아니하며 아래로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논어 헌문편)
그러므로 군자는 평이함에 거하여 천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한 것을 행동하면서 요행을 바란다.
공자는 말하였다.
“활쏘기는 군자와 같음이 있으니, 정곡(正鵠)을 맞추지 못하였을 때
돌이켜 그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는다.”
☑ 반구제기
‘반구제기’는 유학의 4서5경 가운데 하나인 ‘예기’에 처음 등장한다.
예기 ‘사의(射義)’편에는
‘射者 仁之道也 求正諸己 己正而后 發 發而不中 則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已矣’
라는 대목이 있다.
풀이하면
‘활쏘기란 어짊으로 나아가는 길이다.
(활을 쏠 때는) 스스로 올바름을 구해 내 자신이 바르게 된 뒤에야 쏜다.
쏘아서 적중하지 못하더라도 나를 이긴 사람을 원망하지 않고
도리어 나 자신에게서 (잘못을) 찾을 따름이다.’라는 뜻이다.
즉 남을 탓하지 않고 자신을 반성하는 자세를 말한다.
공자도 ‘중용’에 비슷한 말씀을 남겼다.
‘활쏘기에는 군자와 같음이 있으니 정곡을 맞히지 못하면 도리어 그 몸에서 (잘못을) 찾는다.’
(원문 子曰 射 有似乎君子 失諸正鵠 反求諸其身)라고 했다.
예기 사의의 구절은 ‘맹자’의 ‘공손추 상’편에도 거의 같은 문구로 인용됐다.
수신·제가의 중요성을 가르치는 ‘대학’에는 사회 지도층 인사가 마음에 새겨야 할 교훈이 적잖게 들어 있다.
‘그 명령하는 바가 백성이 좋아하는 것에 반대되면 백성이 따르지 않느니,
이런 고로 군자(지도자)는 스스로가 선한 뒤에야 남에게 선을 요구할 수 있으며
스스로에게 악이 없어야 남들의 악을 잘못됐다고 할 수 있다.’
(其所令 反其所好而民不從 是故 君子 有諸己而後 求諸人 無諸己而後 非諸人)라는 대목이 그 좋은 예이다.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는 영원하나 인생은 찰나 (0) | 2022.05.05 |
---|---|
可以取, 可以無取 取傷廉 (0) | 2022.05.04 |
천하에 바른 도가 있으면 (0) | 2022.04.29 |
부모는 오직 자식이 병들까 걱정이다 (0) | 2022.04.28 |
身體髮膚 受之父母 (0) | 2022.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