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可以取, 可以無取 取傷廉

by freewind 삶과사랑 2022. 5. 4.
728x90

可以取, 可以無取  取傷廉

 

 

<孟子> 離婁章句下 第二十三章

 

孟子曰

 

可以取, 可以無取 (가이취, 가이무취)

取傷廉 (취상렴)

 

얼핏 보면 취할만하고 자세히 보면 취하지 말아야 할 경우에

(다른 해석 : 취할 수도 취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에 이하 공통)

취하면 청렴을 손상하고,

 

 

可以與, 可以無與 (가이여, 가이무여)

與傷惠 (여상혜)

 

얼핏 보면 줄만하고 자세히 보면 주지 말아야 할 경우에

주면 은혜를 손상하며,

 

 

可以死, 可以無死 (가이사, 가이무사)

死傷勇 (사상용)

 

얼핏 보면 죽을만하고 자세히 보면 죽지 말아야 할 경우에

죽으면 용맹을 손상한다.

 

========

 

모임의 좌장께서

이런저런 이유로 사람을 만나는 일에 한 마디를 더하셨다.

 

可以會, 可以無會 (가이회, 가이무회)

會傷靜 (회상정)

 

만날 수도 있고 만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에

만남을 하게 되면 마음의 고요함을 손상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