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송시

긍정적인 밥

by freewind 삶과사랑 2022. 6. 19.
728x90

긍정적인 밥

 

함민복

 

 

시 한 편에 삼만 원이면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쌀이 두 말인데 생각하면

금방 마음이 따뜻한 밥이 되네

 

 

시집 한 권에 삼천 원이면

든 공에 비해 헐하다 싶다가도

국밥이 한 그릇인데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만큼

사람들 가슴을 따뜻하게 덥혀 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하네

 

 

시집이 한 권 팔리면

내게 삼백 원이 돌아온다

박리다 싶다가도

굵은소금이 한 됫박인데 생각하면

푸른 바다처럼 상할 마음 하나 없네

 

 

- 시집,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창비. 1996

 

 

일러스트=잠산

 

 

<해설문태준·시인

 

"아무리 하찮게 산

 사람의 생(生)과 견주어 보아도

시(詩)는 삶의 사족(蛇足)에 불과"('詩')하지만 시인은 시를 써서 세상의 돈을 쥔다

 

끙끙대고 밤을 새우며  노력에 비하면 원고료는 박하고  만에 펴내고 받는 인세로 꾸리는 생활은 기궁하다.   

그러나  가난한 시인은 원고료와 인세를 교환하면 쌀이  국밥이  그릇굵은 소금이  됫박이나 되니 

 공에 비해 너무 많은  아닌가라고 묻는다

쌀이  말이 되기까지의 노동 그릇의 국밥이 되기까지의 노동굵은 소금  됫박이 되기까지의 노동에 비하면 

 노동의 대가는 얼마나 고맙고  것인가 라고 말한다

땡볕 속에서 몸으로 얻어낸 그것들에 비할진대

 세상 정직한 사람들의 숭고한 노동에 비할진대.  

 

함민복(46) 시인의 초기 시는 거대 자본주의 현실에 대한 공포를 노래했다

"이 시대에는 왜 사연은 없고

납부통지서만 날아오는가

아니다 이것이야말로

자본주의의 절실한 사연이 아닌가"('자본주의의 사연')라고 노래했고

서울을 문명을 주사하는 '백신의 도시'라고 이름 붙였다

 

그리고 1996 그는 보증금 없이 월세 10만원인

마당에 고욤나무가  있는 강화도 동막리 폐가  채에 홀로 살림을 부렸다

동네 형님 고기잡이배를 따라다니며 망둥이숭어농어를 잡고

이제는 뻘낙지를 잡을 줄도 아는 어민후계자 시인이 되었다

 

뻘에 말뚝을 박으려면 힘으로 내려 박는 것이 아니라 

"뻘이 말뚝을 품어 제 몸으로 빨아들일 때까지

좌우로 또는 앞뒤로 열심히 흔들어야 한다"('뻘에 말뚝 박는 법') 것도 배웠고

 

그물 매는 것을 배우러 나갔다 배를 타고 돌아오면서 

"경진 아빠 배 좀 신나게 몰아보지

먼지도 안 나는 길인데 뭐!"('승리호의 봄')라며 농담을  줄도 안다.  

 

강화의 서해 갯바람과 갈매기와 뻘냄새가 물씬 풍기는 그의 시는 

단단한 문명에 맞서는 '부드러움의 시학'으로 나아가면서 

우리 시단에서는 한동안 드물었던 '섬시()' 명편들을 낳고 있다

강화도의 '물때달력' 오늘도 들여다보고 있을 시인아.

 

출처: 2008. 2. 20   조선일보

 

'애송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쟁이  (0) 2022.06.26
선택들  (0) 2022.06.25
내 목소리는  (0) 2022.06.18
나를 미소 짓게 한 당신  (0) 2022.06.12
내가 사랑하는 사람  (0) 2022.06.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