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官祿

by freewind 삶과사랑 2022. 12. 7.
728x90

官祿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31            이병한 <서울대 명예교수>

 

 

官非其任, 관비기임,

不處; 불처;

 

祿非其功, 녹비기공,

不受也. 불수야.

.............................................................................

 

자기가 맡을 만한 일이 아닐진대 그 벼슬자리에 나아가지 말 것이며;

자기가 세운 공적에 대한 정당한 대가가 아닐진대 그 봉록을 받지 말아야 한다.

.............................................................................

 

한 사마천(司馬遷)이 엮은 사기 일자열전(史記 日者列傳)’에 있는 말이다.

 

남보다 잘 살고져 하는 마음을 지니는 것은 인간으로서의 본능적 욕구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사는 것이 남보다 잘 사는 것이냐 하는 것은 저마다의 가치관이나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획일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보다 높은 벼슬자리에 앉고 싶어하고 남보다 많은 재물이나 권세를 누리고 싶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욕망을 충적시키기 위하여 온갖 힘을 다 기울인다.

 

그러나 욕망이 지나치면 화를 부르게 되고

스스로의 능력이나 분수에 맞지 않는 자리나 봉록은 욕될 뿐이니

이를 탐하여서는 안 된다.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변의 규율  (0) 2022.12.09
승리자의 금도  (0) 2022.12.08
  (2) 2022.12.06
군자의 덕목  (0) 2022.12.05
국화그림  (0) 2022.12.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