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를 막지 말라
논어 중에서
가만히 있는 것은 영원이 아니다.
끊임없이 끝없이 움직이는 것, 그것이 바로 영원이다.
여래는 만물이 무상하다고 말했고
공자는 흐르는 물에 발을 담그고 지나가는 것을 보았으며
서양의 아우구스트는 흐르는 물에서 발을 씻다가
같은 물에 두 번 발을 씻을 수 없음을 알고 시간을 보았다.
공자든 여래든 아우구스트이든 모두 같은 것을 보았던 셈이다.
변화하는 것을 보았던 것이다.
그러한 변화를 영원이라고 보아도 된다.
나무에 잎이 나오면 꽃이 피게 되고 꽃이 이울면 열매가 오게 된다.
꽃이 지나가면 열매가 나오지만 잎은 여전히 가지에 달려 있으니
지나가지 않는 것이 아니냐고 말해도 될까?
아니다.
잎이 지나가면 낙엽이 떨어지고 흙으로 돌아간다.
이처럼 지나가는 것은 어디론지 돌아가는 곳이 있다.
돌아가는 곳을 노자는 도라고 하였고
공자는 지나가는 것마저도 다 모르는데 돌아가는 곳이 어디냐고
물어서 알려고 할 것은 없다고 하였다.
공자의 당부는 몰라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가지도 못하면서 걷기를 말하지 말 것이며
걷지도 못하면서 달리지 말라는 당부를 공자는 남기고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살아 있는 동안
어떻게 하면 제대로 사는 것인가를 먼저 알아야 함을 공자는 누누이 말한다.
그래서 공자는 삶을 모르는데 죽음을 알아서 무얼하느냐고 반문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공자도 산다는 것은 지나가는 것임을 부인하지 않는다.
삶은 흐르는 물처럼 지나간다.
흐르는 물이 쉼 없이 흘러가는 것처럼 삶 또한 그렇게 흘러간다.
어디를 향해서 가는 걸까?
죽음을 향해서 가는 것이 아닌가.
그렇게 흘러
가는 삶을 안타까워한들 아무런 소용이 없다.
하늘의 명을 따른다는 것은
흐르는 물에 발을 담그고 스치고 흘러가는 물처럼 맡겨 두는 것과 같다.
흐르는 물을 아무리 막아도 그 물을 멈추게 할 수는 없다.
물은 흘러야 맑고
썩지 않는다.
고인물이 썩을 뿐이다.
변하는 것을 받아들이면 흐르는 물처럼 막힘이 없다.
삶이 변하여 죽음이 됨을 받아들이면 아무런 두려움 없이 순명하게 된다.
생사의 순명, 그것은 공자가 본 흐르는 물이요,
그것은 아주 막힘없이 지나가는 것이 아닌가.
흐르는 물에서 지나가는 것을 보고
막힘이나 매듭이 있어서는 안되는 것임을 헤아리면 될 것이다.
그러면 사람은 막가는 짓을 범하지 않을 것이고 마음속이 훤히 트여
사람과 사람 사이가 흐르는 물처럼 부드러울 것이다.
원수가 되고 한을 짓고 원을 맺으면서 사납게 살 것은 없다.
걸림없이 유장하게 살아가는 길은 무엇이든 지나가지 않는 것이란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마음의 길과 같은 것일 게다.
악한 짓을 범하고 못된 짓을 저질러 대는 인간은
영영 사는 것으로 착각하고 악착같이
흐르는 물을 막아 멈추게 하려고 억지를 부리는 것과 같다.
이 얼마나 꽉 막혀 딱한 인간인가?
<공자의 말씀>
공자께서 냇물에 서서 이렇게 말했다. :
지나가는 것들은 흐르는 물과 같구나.
밤낮없이 쉬지를 않는구나.
子在川上曰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 출처 : 인터넷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르기는 어려우나 (0) | 2022.06.16 |
---|---|
空手來空手去 (0) | 2022.06.15 |
天時는 地利만 못하고, 地利는 人和만 못하다 (0) | 2022.06.10 |
구맹주산 狗猛酒酸 (0) | 2022.06.09 |
지기(知己) (0) | 2022.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