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불언하자성혜(桃李不言下自成蹊)
☑ 한자 뜻과 음
복숭아나무 도, 오얏 리, 아닐 닐 불, 말씀 언, 아래 하, 스스로 자, 이룰 성, 지름길 혜.
☑ 풀이
복숭아나무와 자두나무는 말을 하지 않아도 그 밑에 절로 길이 난다는 말.
☑ 유래 및 용례
『史記(사기)』 李將軍列傳(이장군열전)에 나오는 말이다.
漢(한)나라 武帝(무제) 때 李將軍(이 장군) 李廣(이광)은 활의 명수로 유명했고, 힘이 세고 몸이 빨랐기 때문에
匈奴(흉노)들은 그를 漢(한)나라의 날아다니는 장수라는 이름으로 漢飛將軍(한비장군)이라고 부를 정도였는데
太史公(태사공) 司馬遷(사마천)이 이광을 두고 한 말이며,
이광이 특히 말이 없었기 때문에, 이 속담으로 말이 없는 그의 성실성을 비유해 표현한 것이다.
이광은 ‘화살이 돌에 박혔다’는 일화로도 유명하다.
하루는 사냥을 나갔던 이광이 늦게 돌아오는데 범이 산 옆에 웅크리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활의 명수인 이광은 화살을 얹어 있는 힘을 다해 범을 쏘았다.
화살이 꽂히는 소리가 나며 범은 그대로 꼼짝을 하지 않았다.
죽었으려니 하고 가까이 가 보니 그것은 범이 아니고 돌이었다.
이 逸話(일화)가 ‘射虎石(사호석)’이라는 이름으로 전해 내려온다.
속담에 말하기를 복숭아나무와 자두나무는 말을 하지 않아도 그 밑에 절로 길이 난다고 했다.
이 말은 아주 쉽고 평범한 말이기는 하지만, 李廣(이광)과 같은 큰 덕을 비유해서 한 말로 볼 수 있다.
복숭아나무와 자두나무는 열매가 맛이 있어서 따 먹으러 오는 사람이 많은 까닭에 자연히 길이 생긴다는 뜻으로,
德行(덕행)이 있는 사람은 無言(무언)중에 남을 심복시킴을 비유하는 말이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知之者 不如好之者 好之者 不如樂知者 (0) | 2022.04.26 |
---|---|
‘서자여사(逝者如斯)’의 가르침 (0) | 2022.04.25 |
학문의 방법 (0) | 2022.04.21 |
알고 싶어 분발하지 않으면 깨우쳐 주지 않는다 (0) | 2022.04.20 |
천리마(千里馬)는 항상 있으나 백락(伯樂)은 드물다 (0) | 2022.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