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210

불변의 규율 불변의 규율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1-02 이병한 日中則移, 일중즉이 月滿則虧, 월만즉휴 物盛則衰, 물성즉쇠 天之常數也. 천지상수야 ............................................................................. 해가 중천에 이르면 서쪽으로 옮기고, 달도 차면 기울며, 만물 또한 흥성하면 쇠미해지니 이는 천지자연의 변함없는 규율인 것이다. ............................................................................. ‘전국책 진책(戰國策 秦策)’에 있는 말이다. 해가 뜨고 지며, 달이 차고 기울며, 계절이 바뀌고 해가 바뀌는 것을 사람들은 날마다 달마다 그리고 해.. 2022. 12. 9.
승리자의 금도 승리자의 금도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1-01 이병한 善爲士者不武, 선위사자불무, 善戰者不怒, 선전자불노, 善勝敵者不與, 선승적자불여, 善用人者爲之下. 선용인자위지하. ............................................................................................................. 훌륭한 지휘관은 무력을 앞세우지 않고, 싸움을 잘하는 사람은 화를 내지 않으며, 적을 잘 이기는 사람은 맞서지 않으며, 사람을 잘 부리는 이는 허리를 굽히고 낮은 곳으로 임한다. .................................................................................... 2022. 12. 8.
官祿 官祿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31 이병한 官非其任, 관비기임, 不處; 불처; 祿非其功, 녹비기공, 不受也. 불수야. ............................................................................. 자기가 맡을 만한 일이 아닐진대 그 벼슬자리에 나아가지 말 것이며; 자기가 세운 공적에 대한 정당한 대가가 아닐진대 그 봉록을 받지 말아야 한다. ............................................................................. 한 사마천(司馬遷)이 엮은 ‘사기 일자열전(史記 日者列傳)’에 있는 말이다. 남보다 잘 살고져 하는 마음을 지니는 것은 인간으로서의 본능적 욕구의.. 2022. 12. 7.
때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30 이병한 爲可爲於可爲之時, 위가위어가위지시, 則從; 즉종; 爲不可爲於不可爲之時, 위불가위어불가위지시, 則凶. 즉흉. ........................................................................................................................ 할만한 일을 할만한 때에 하면 좋은 결과가 있게 된다. 그러나 해서는 안될 일을 해서는 안될 때에 하면 흉한 꼴을 보게 된다. ................................................................................................................ 2022. 12. 6.
군자의 덕목 군자의 덕목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29 이병한 君子成人之美, 군자성인지미 不成人之惡. 불성인지악 小人反是. 소인반시 ----------------------------------------- 군자는 남이 잘한 것을 인정하고 이를 기리며, 남의 단점이나 허물은 이를 들춰내지 않는다. 그런데 소인은 이와 반대로 한다. ----------------------------------------- 공자(孔子)가 한 말이다. ‘논어 안연(論語 顔淵)’에 보인다. 공자는 또 “사람 셋이 가면 그 가운데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는 말도 했었다. 남의 장점이나 공적은 이를 배우고 본받아 스스로의 자질과 능력을 향상 시키고, 남의 단점이나 허물은 이를 거울삼아 나의 언동거지를 삼가고 경계한다는.. 2022. 12. 5.
국화그림 국화그림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26 이병한 輕肌弱骨散幽, 경기약골산유파, 眞是靑裙兩계. 진시청군양계아. 便有佳名配黃菊, 변유가명배황국, 應戀霜後苦無花. 응연상후고무화. ............................................................................ 연약한 가지에 그윽하게 피인 꽃 양쪽으로 머저 딴 푸른 치마 소녀로다 황국이라 멋 있는 이름 꽃인 것도 서리 내린 뒤에는 피는 꽃 더 없음을 아쉬워 함이리라. ............................................................................ 이번 가을 성북동 간송박물관(澗松博物館)의 소장품 전시에 선을 보인 심사정(沈師正).. 2022. 12. 2.
先行課程 先行課程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25 이병한 課子課孫先課己, 과자과손선과기 成仙成佛且成人. 성선성불차성인 .................................................................. 아들을 가르치고 손자를 가르침에 있어서는 먼저 스스로를 가르쳐야 하고, 신선이되고 부처 되기에 앞서 사람이 돼야 한다. .................................................................. 청대의 서법가 진홍수(陳鴻壽)가 친구에게 써 준 대련(對련)내용이다. 자녀교육의 일차적인 책임은 부모에게 있다. 그리고 자녀가 건강하게 자라고 좋은 환경에서 좋은 교육을 받게 되면 그들의 사회진출이 그만큼 보장되고 집안이 .. 2022. 11. 30.
하늘과 땅 하늘과 땅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24 이병한 天稱其高者, 천칭기고자, 以無不簿; 이무불부; 地稱其廣者, 지칭기광자, 以無不載. 이무불재. ............................................................................ 하늘을 일컬어 높다 하는 것은 덮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고, 땅을 일컬어 넓다 하는 것은 싣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다. ............................................................................ 위(魏) 조식(曹植)이 “구통친친표 求通親親表”에서 인용한 “예기 禮記”구절이다. 하늘은 위에서 아래로 모든 것을 감싸고 덮어 주며, 땅은 아래에서 모든 것.. 2022. 11. 29.
百行의 根本 百行의 根本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23 이병한 愛親者不敢惡於人, 애친자불감오어인, 敬親者不敢慢於人. 경친자불감만어인. ............................................................................ 어버이를 사랑하는 이는 다른 사람을 미워하는 일 따위는 하지 않으며, 어버이를 공경하는 이는 남을 업신여기는 일 따위를 하지 않는다. ............................................................................ “효경 천자(孝經 天子)”에서 인용하고 있는 공자의 말씀이다. “효는 백행의 근본이다”라는 말이 있다. 어버이를 사랑하고 공경하는 사람이 남을 미워하거나 없신.. 2022. 11. 28.
無字書와 無弦琴 無字書와 無弦琴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22 이병한 人解讀有字書, 인해독유자서, 不解讀無字書; 불해독무자서; 知彈有弦琴, 지탄유현금, 不知彈無弦琴. 부지탄무현금. ............................................................................ 사람들은 글자가 있는 책은 읽을 줄 알지만 글자가 없는 책을 읽을 줄은 모른다. 그리고 줄이 있는 현악기는 탈 줄 알지만 줄이 없는 현악기를 탈 줄은 모른다. ............................................................................ 명 홍자성(洪自誠)의 “채근담 菜根譚”"에 있는 말이다. 우리날 한글은 그 조자원리(造字原.. 2022. 11. 25.
향상과 겸손 향상과 겸손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19 이병한 畏盈居謙, 외영거겸, 乃終有慶. 내종유경. ............................................................................. 가득 찬 것을 두려워 하고 겸손하게 처신하면 마침내 경사스러운 일이 있게 된다. ............................................................................. 진(晉) 갈홍(葛洪)의 ‘포박자 외편 신절(抱朴子 外篇 臣節)’에 있는 말이다. 그릇에 물이 차면 넘친다. 그리고 넘치는 물은 아래로 흘러내린다. 이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산에 오르는 사람은 그 산의 정상에 다다를 때까지 가쁜 숨.. 2022. 11. 24.
평생의 큰 병 평생의 큰 병 [古典서 찾는 지혜] 한국경제신문 2001-10-18 이병한 人生大病, 只是一傲字. 인생대병, 지시일오자. 爲子而傲,必不孝; 위자이오,필불요; 爲臣而傲,必不忠; 위신이오,필불충; 爲父而傲,必不慈; 위부이오,필부자; 爲友而傲,必不信. 위우이오,필불신. .............................................................................................................. 사람 평생 가장 큰 병은 바로 오만함이다. 자식이 되어 오만하면 반드시 불효하며, 신하가 되어 오만하면 반드시 불충하고, 어버이가 되어 오만하면 반드시 자애롭지 못하며, 친구가 되어 오만하면 반드시 미덥지 못하다. ..................... 2022.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