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건강263

내 몸에 맞는 운동은 이것! 내 몸에 맞는 운동은 이것! 건강 상태별 맞춤 운동법 2023. 3. 22.
남자가 건강하게 오래 사는 노하우 남자가 건강하게 오래 사는 노하우 2023. 3. 20.
‘이 과일’ 먹은 하루, 뇌 활동 촉진된다 (연구) ‘이 과일’ 먹은 하루, 뇌 활동 촉진된다 (연구) 코메디닷컴 2020.09.28. 문세영 기자 [사진=Olenaa/gettyimagesbank] 블루베리 섭취가 단기간 뇌 활동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40~65세 사이의 중년 실험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무작위 대조군 이중맹검 연구결과다. 실험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아침식사로 블루베리 한 컵을 먹도록 했고, 대조군인 또 다른 한 그룹은 플라시보 등가물에 해당하는 것을 섭취하도록 했다. 그 다음, 그 날 하루 동안 기억력, 집중력 등 뇌 기능을 평가하는 인지능력 과제들을 수행하도록 했다. 그 결과, 블루베리를 섭취한 그룹은 각 과제의 수행능력이 하루 동안 일관된 수치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플라시보 .. 2023. 3. 17.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십 수 년 전 도올 김용옥 교수가 ‘똥철학’을 내세우며 대중 앞에 화려하게 모습을 드러내던 때가 생각난다. 도올 선생의 똥철학은 ‘완벽한 똥을 눌 수 있도록 오늘 하루를 잘 산다고 하는 것도 엄청난 철학적 주제’이며 ‘아무리 뛰어난 사람도 하루, 이틀, 사흘 똥만 제대로 못 누어도 그 인간은 무너져 버릴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는 ‘인간만이 밑을 닦는 유일한 동물’이라며 완벽한 똥은 ‘딱딱하지도 묽지도 않고 한마디로 밑을 닦을 필요가 없이 깨끗하게 쏘옥 빠져 나가는’ 그런 똥이라고 말한다. ‘기인(奇人)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지식인의 스펙트럼을 한참 벗어난 도올 선생의 강의에 신선한 충격을 받아 그 뒤에도 자주 봤는데 또 다른 흥미로운 이야기도 기억이.. 2023. 3. 16.
단 5초 안에 더 긍정적으로 변하기 단 5초 안에 더 긍정적으로 변하기 2023. 3. 15.
건강장수 가이드라인 12조 건강장수 가이드라인 12조 01. 하루에 먹는 음식 종류를 최대 10가지까지 늘리자. 02. 구강관리 철저히 해 씹는 힘을 지키자. 03. 일상생활에서 운동으로 근력과 보행력을 키우자. 04. 하루 한 번 이상 외출하고, 사람들과 어울려라, 05. 호기심을 키우고, 낙천적인 100세인의 마음을 따라 하자. 06. 집 안에서 넘어지지 않는 환경을 만들고, 사례들리지 않도록 주의. 07. 건강식품과 보조제는 제대로 알고 먹자. 08. 동네 사람과 거리를 많이 아는 ‘지역력’을 키우자. 09. 노쇠는 영양관리, 체력증진, 사회참여 3인방으로 줄이자. 10. 잘 먹고, 자 걷고, 잘 말해서 치매 낮추자. 11,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 관리하는 지식을 갖자, 12. 인생 말기를 어떻게 마무리할지 미리 계획 .. 2023. 3. 14.
윗몸 일으키기가 똥배 없애준다? 잘못된 의학상식 20가지 윗몸 일으키기가 똥배 없애준다? 잘못된 의학상식 20가지 조선일보 2009.06.01 윤희영 님의 블로그 건강에 관해 말할 때(when it comes to health)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 것들(some facts that nobody questions)이 있다. 가령 탄수화물을 섭취하면(eating carbohydrates) 살이 찐다(make you fat)든가 윗몸 일으키기(sit-ups)가 똥배를 없애준다(shift a pot belly)든가 하는 것들은 많은 사람들이 맹신하고 있는 수많은 건강 통념들(the countless health myths many give hasty credit) 중 하나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미러의 의학 전문기자가 말하는 잘못된 의학상식 20개를 살펴보자... 2023. 3. 13.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나 바뀐 것 같지 않아?” “어, 그러고 보니 좀 젊어진 것 같은데...” 프리랜서에 가까이 살아 한 달에 한두 번은 보는 친구가 며칠 전 점심을 하다 불쑥 이런 말을 꺼냈다. 과체중인 이 친구는 그 사이 다이어트를 해 일주일 만에 체중이 3kg빠졌다는데 그 효과가 얼굴에 나타난 것 같다. 그런데 이 친구가 그렇게 효과를 본 방법이 말로만 듣던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였다. 이날도 점심 메뉴로 닭고기샐러드를 시켰다. 이 친구는 우연히 ‘그레인 브레인’이란 책을 읽고 다이어트를 시작했는데 체중이 준 건 부수적인 소득이었다. 나이가 들고 체중이 늘면서 점점 무력감과 불안증이 심해지는 것 같아 고민하고 있었는데 이 책에서 그 원인이 탄수화물이라는 설명을 읽고 식단을 바꾸기.. 2023. 3. 10.
커피 속의 오일, 건강 상태에 따라 선택하면 좋다 커피 속의 오일, 건강 상태에 따라 선택하면 좋다 [알고 마시면 더 맛있는 커피] ② 커피 한 잔의 건강… 프레시안 2021.04.23. 문상윤 기자 커피 속의 오일은 항암, 항산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지만 혈중 콜레스테롤과 혈중지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커피에는 향기를 내어주는 오일성분이 들어 있다. 이 오일성분은 카페스톨과 카페올로 긍정적인 영형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 미치고 있다. ⓒ프레시안(=문상윤) 커피는 많은 사람들이 식사 후 또는 만남의 자리에서 즐기고 있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료로 기호성이 강하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건강적인 측면보다는 커피의 향미에 더욱 주목을 하고 있고 커피와 질병과의 관계에 대한 정확한 결과들이 부족한 현실에서 커피의 기능성에 .. 2023. 3. 9.
두통 편두통 없애는데 좋은 식품 12 두통 편두통 없애는데 좋은 식품 12 코메디닷컴 2021.04.09. 이보현 기자 [사진=OLEKSANDR PEREPELYTSIA/gettyimagebank] 현대인들이 종종 경험하는 두통이나 편두통. 머리에 발생하는 통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강에 좋은 음식을 다양하게 섭취하고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웨이크 포레스트 침례 건강'의 통합의학 책임자 윈 브라운은 “음식은 최초의 약이나 마찬가지”라며 “어떤 것을 먹는지, 언제 먹는지에 따라 통증 관리에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고 말한다. 평소 식사에서 두통 편두통을 없애는 식품을 꾸준히 먹는 것이 통증 완화에 보탬이 된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미국 의학정보 사이트 ‘에브리데이헬스’에서 두통과 편두통을 자연스럽게 .. 2023. 3. 8.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과학동아 2010년 03월 강석기 기자 영양소 불균형이 폭력성으로 이어져 전통 동양철학과 달리 서구에는 몸과 마음의 이분법이 널리 퍼져 있다. 예를 들어 범죄에 관련된 정의를 생각할 때 서구의 이분법은 행동이 완전히 자유의지(마음)의 문제라고 가정한다. 이런 가정은 종종 어려운 판결을 내릴 때 도움이 되지만 사실 뇌가 없다면 어떻게 자유의지를 행사하느냐는 다소 애매한 문제에 부딪친다. 알다시피 뇌는 신체기관이고 적당한 영양 공급 없이는 작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적정한 영양소 섭취에 대한 표준이 있지만 여기엔 행동을 조절하는 뇌의 기능에 대한 고려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한편 동양철학은 지난 수천 년 동안 마음과 몸이 연결돼 있다는 생각을 당연시했다. 예를 들어 불교 경전들.. 2023. 3. 7.
열심히 운동했는데, 성과가 부진하다면? 열심히 운동했는데, 성과가 부진하다면? 코메디닷컴 2021.06.03. 이보현 기자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헬스장에 출근도장 찍듯이 나가도 성과가 부진해 답답해 하는 사람들이 있다. 전문가들은 운동 후에도 근육이 늘지 않는다면 뭔가 잘못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지적한다. 이왕 시간과 노력을 들여 운동을 할거라면 탄탄한 근육질 몸매로 보상받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 미국 ‘멘즈헬스 닷컴’은 운동학자 겸 피트니스 트레이너 제레미 이티어의 조언으로 운동 효과가 신통치 않아서 불만인 남성들이 스스로를 돌아봐야 할 3가지 요인을 정리했다. 그는 이들 요인을 ‘운동효과 킬러’라고 이름붙였다. 운동효과 킬러 1: 장기 플랜이 없다 이티어는 “운동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가장 흔한 이유 중 하나로 ‘비대한 주의력 결핍 장애’.. 2023. 3. 6.